종합부동산세 확인, 납부기간, 고지서 확인 및 기준 계산 방법(ft. 종합부동산세)을 알아보세요.

종합부동산세 확인방법과 종합부동산세 고지서를 확인하고 납부기간 기준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안녕하세요. 포지티브스텔라 입니다.

2023년 종합부동산세(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해야 하는 분들에게 11월 23일부터 통지문이 발송되었습니다.

통지서를 받은 분들은 종합부동산세를 12월 15일까지 납부하셔야 합니다.

종합부동산세 납세자 수는 2022년 120만명이었는데, 2023년에는 3분의 1, 즉 41만명으로 크게 줄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세법이 개정되면서 종합세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향조정됐고, 기본공제금액도 인상됐고, 공시가격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부동산세 확인방법, 납부기간, 고지서 확인방법, 종합부동산세 기준 및 계산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종합부동산세(종합부동산세)의 의미와 납부기간

종합부동산세는 주택과 토지에 부과되는데, 이 두 가지 종합부동산세를 합쳐서 고시합니다.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고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2005년부터 시행됐다.

납부기간 매년 12.1~12.15 (단, 납부기한이 토요일 및 공휴일인 경우에는 다음 평일) 납부방법(분할) 납부한 세액이 2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세금포함 300만원 초과) 농어촌특별세), 납부세액의 일부 납부기한 이후 6개월 이내 납부 가능 250만원 초과 500만원 미만 : 250만원 초과분 분할납부 5회 초과 백만원 : 납부세액의 100분의 50 이하의 금액을 분할납부 농어촌특별세 : 종합부동산세 분할세율에 따라 분납 농어촌특별세 : 20% 납부해야 할 종합부동산세입니다.

종합부동산세(종합부동산세) 기준 및 계산방법

종합부동산세(종합부동산세)의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 및 이에 따른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2022년 대비 2023년 다주택자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크게 줄었다는 점이다.

다주택자 기본공제금액은 6억원에서 9억원으로 늘었고, 다주택자에 대한 중과세율은 제외됐다.

2주택 등을 보유한 사람이 저가형 지방주택 1채를 보유할 경우, 3주택 이상 보유자에게 과세표준 12억 원 한도까지 일반세율을 적용해 다주택 보유자의 조세부담을 대폭 경감했다.

. .

종합부동산세 계산방법(계산기 이용) 과세표준 세율을 확인하여 종합부동산세를 계산할 수 있으나, 다소 복잡하므로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네이버에서 종합부동산세계산기를 검색하면 여러 사이트에서 계산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홈택스는 계산기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홈택스 → 세금신고 → 종합부동산세 → 종합부동산세 간편세금계산 바로가기) 저는 부동산계산기닷컴에서 이용했어요. (광고 아님) 소유한 부동산에 부과되는 세금은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두 가지가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조건(1세대 1주택 소유 여부, 60세 이상, 5년 이상 소유 등)에 맞는 항목을 확인하고, 아래 공시가격을 입력한 후 계산을 클릭하세요. 아래는 보유세입니다.

공시 가격은 실거래가가 아니며,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서 검색 및 입력이 가능합니다.

공시가격이 얼마인지도 보여주기 때문에 청구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가구 1주택 공제기준인 12억원을 공시가격으로 사용해 계산했다.

그러면 재산세와 지방교육세가 부과되지만, 종합부동산세(종합부동산세)는 부과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는 공시가격이 12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부과됩니다.

종합부동산세 확인방법 : 종합부동산세 확인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홈택스(Home Tax)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맨 윗줄에 메뉴가 있는데 거기에서 ‘세금신고’를 선택하세요. 세금종류(세목) 중 종합부동산세를 선택한 후 과세항목을 선택하고 세액내역 조회를 하시면 됩니다.

로그인하지 않으신 분은 로그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보유하고 있는 주택의 내역이 나타나며, 신고세액 내역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종합부동산세(종합부동산세) 확인 방법, 납부기간, 고지서 확인 방법, 기준가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